라즈베리파이_라즈비안 OS 설치
개인용 NAS를 사용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공유 폴더 접속이 가능하도록 Samba라는 패키지를 설치하여 공유 폴더를 설정을 해볼려 합니다.
samba 파일을 설정을 하기 위해서 편집 도구를 사용해야 하기때문에, vim이라는 편집 도구를 설치를 합니다.
그리고 Samba 패키지를 설치를 합니다.
Samba가 제대로 설치되었는지 확인을 위해 Samba 폴더에 접근하여 설정파일이 있는지 확인을 해봅시다.
Samba에 접속할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등록합니다.
sudo smbpasswd -a [ pi ]
사용자 이름이 [pi]인 사용자의 패스워드를 설정한 화면입니다.
sudo vim smb.conf 명령어를 쳐서 Samba 파일을 설정 해보도록 합니다.
[smb.conf 화면]
[ Page Down ]키를 이용하여 맨 아래로 이동합니다.
그리고 아래와 같이 설정파일 안에 설정 내용을 작성을 해줍니다.
그 후 ESC를 누르고 Shift + ; 를 눌러서 wq를 입력하여 저장해서 편집창을 종료합니다.
그리고 설정한 파일을 서버에 적용시키기 위해 Samba 서버를 재시작 해줍니다.
sudo /etc/init.d/samba restart
그 후에 Windows에서 실행창에 라즈베리파이 IP 주소를 입력을 합니다.
접속을 하게되면 자격 증명을 해야하는데 위에 설정했던 사용자 pi로 접속을 합니다.
접속을 성공하게되면 아래와 같이 2개의 폴더를 확인 할 수가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Share폴더에 접속해서 Test라는 폴더를 생성을 한 후 정상작동을 하는지 확인을 합니다.
'Raspber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즈베리파이 SSH 설정 (0) | 2018.10.31 |
---|---|
라즈베리파이 라즈비안 OS 설치 (0) | 2018.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