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aspberry

라즈베리파이 라즈비안 OS 설치

라즈베리파이_라즈비안 OS 설치

 

 

라즈베리파이를 이용한 개인용 NAS를 구축하기 위해서 구매를 했습니다. 

 

제가 이용한 환경에 대해서 설명을 해볼려고 합니다.

 

가장 먼저 필요한 준비물은 라즈베리파이, 저는 라즈베리파이3B+를 사용했습니다.

 

그리고 SD카드는 16GB를 사용했습니다. SD에는 라즈비안 OS 설치를 그리고 고용량의 USB를 따로 사용하여 

 

파일을 백업하기 위해 사용할 목적으로 구매를 했습니다.

 

그러면 설치를 해보겠습니다!!

 

 

 

1. 라즈비안 OS 다운로드

 

https://www.raspberrypi.org/downloads/raspbian/에 접속하셔서 최신버전의 라즈비안 OS를  다운로드 합니다.

 

공식홈페이지 다운로드 화면입니다. 저는 왼쪽에 RASPBIAN STRETCH WITH DESKTOP으로 다운로드 받았습니다.

 

하고 싶은 환경에 맞게 다운로드를 받으시면 될 것 같습니다. ^__^




2. 라즈비안 이미지를 SD 카드에 설치

 

https://www.balena.io/etcher/에 접속하셔서 SD카드에 라즈비안 OS를 설치 할 수 있는 유틸리티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를 받습니다.

 

 

 

Select image를 클릭해서 다운로드받은 라즈비안OS를 선택해줍니다.

 

 

 

 

두번째 설치할 SD 장치를 선택한 후 Flash 버튼을 눌러서 설치를 합니다.

 

 

 

설치 진행 중인 화면 입니다.

 

 

SD카드에 라즈비안 설치를 완료했습니다!!

 

 

다음에는 콘솔로 접속하는 방법을 작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모니터로 쉽게 연결하여 접속 할 수 있지만

    개인마다 주어진 환경이 다를 수도 있으니 SSH를 이용하여 접속하는 방법을 작성해보겠습니다.

 

 

 

* NAS (Network-Attached Storage) 

네트워크에 연결된 파일 수준의 데이터 저장 서버로, 네트워크 상의 다른 기기들에게 파일 기반 데이터 저장 서비스를 제공 

 

 

* SSH (Secure Shell) 

- 공개 키방식의 암호 방식을 사용하여 원격지 시스템에 접근하여 암호화된 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는 시스템

 LAN 상에서 다른 시스템에 로그인할 때 스니퍼에 의해서 도청당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Raspber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즈베리파이 SAMBA 설정  (0) 2018.10.31
라즈베리파이 SSH 설정  (0) 2018.10.31